해밀턴 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밀턴 부인》은 1941년에 개봉한 영화로, 늙고 알코올 중독에 시달리는 엠마 해밀턴이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회상하는 형식을 취한다. 엠마는 찰스 프랜시스 그레빌의 정부에서 윌리엄 해밀턴 경과 결혼하고, 이후 호레이쇼 넬슨을 만나 사랑에 빠지지만, 넬슨의 죽음으로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이 영화는 엠마의 초기 생애, 윌리엄 해밀턴과의 만남, 넬슨과의 사랑, 그리고 트라팔가 해전을 배경으로 한 넬슨의 죽음을 다루며, 비비안 리와 로렌스 올리비에가 주연을 맡았다. 영화는 윈스턴 처칠이 가장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였으며, 제14회 아카데미 음향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 혁명 전쟁 영화 - 우정 (1936년 영화)
18세기 런던의 로이드 보험회사를 배경으로 젊은 조나단 블레이크가 보험 사기 음모를 막고 부와 권력을 얻는 과정을 그린 1936년 미국 영화 《우정》은 타이론 파워 등이 출연하고 헨리 킹이 감독했으며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미술상과 편집상 후보에 올랐다. - 나폴레옹 전쟁 영화 - 사랑과 죽음
우디 앨런 감독의 코미디 영화 《사랑과 죽음》은 러시아 혁명 시대를 배경으로 사랑, 죽음, 삶의 아이러니를 다루며 러시아 문학과 유럽 영화를 패러디하고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의 음악을 활용하여 독특한 유머와 러시아적 분위기를 조성, 비평적·상업적 성공과 함께 베를린 국제영화제 은곰상을 수상했다. - 나폴레옹 전쟁 영화 - 정염의 미녀
1929년 개봉한 미국의 전기 멜로 드라마 영화 정염의 미녀는 18세기 후반 엠마 하트의 삶과 호레이쇼 넬슨과의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작품으로, 프랭크 로이드 감독이 연출하고 코린 그리피스와 빅터 바르코니가 주연을 맡았으며, 제2회 아카데미 감독상을 수상하고 여우주연상과 촬영상 후보에 올랐다.
해밀턴 부인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That Hamilton Woman |
다른 제목 | Lady Hamilton (레이디 해밀턴) |
감독 | 알렉산더 코다 |
각본 | 월터 라이슈 R. C. 셰리프 |
제작 | 알렉산더 코다 |
주연 | 비비언 리 로렌스 올리비에 앨런 모브레이 |
음악 | 미클로스 로자 |
촬영 | 루돌프 마테 |
편집 | 윌리엄 W. 혼벡 |
제작사 | 알렉산더 코다 필름 |
배급사 |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동화 영화/도호 |
개봉일 | 1941년 4월 3일 (뉴욕, 월드 프리미어) 1941년 8월 2일 1952년 6월 22일 |
상영 시간 | 128분 |
제작 국가 | |
언어 |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
제작비 | 1,250,000 달러 |
흥행 수입 | 미국/캐나다 (1941년 개봉) 100만 달러 이상 영국 (1948년 재개봉) 119,305 파운드 프랑스 (1945년) 2,360,970명 (관객수) |
2. 줄거리
늙고 알코올 중독에 시달리는 레이디 해밀턴은 칼레 빈민가의 채무자 감옥에 갇히게 된다. 그녀는 허스키하고 절망적이며 위스키에 젖은 목소리로 회의적인 동료 죄수들에게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들려준다.[10] 회상 장면의 시작 부분에서 엠마는 거울을 들여다보며 조지 로니와 조슈아 레이놀즈의 상상력을 사로잡았던 젊고 아름다운 소녀의 모습인 "내가 알았던 얼굴"을 기억한다.
매력적이지만 믿을 수 없는 찰스 프랜시스 그레빌의 정부였던 엠마 하트의 초기 삶은 그녀가 나폴레옹에 맞서 영국이 전쟁을 벌이는 이유를 설명해 주는 부유한 삼촌 윌리엄 해밀턴 경, 주 나폴리 영국 대사를 만나게 한다.
그레빌은 빚을 탕감받기 위해 엠마를 윌리엄 경에게 넘겨준다. 처음에는 엠마는 이 일에 충격을 받는다. 그러나 점차 그녀는 호화로운 환경과 매력적인 새 삶에 감사하게 된다. 그녀는 또한 윌리엄 경을 존경하게 되었고 그와 결혼한다. 호레이쇼 넬슨이 나폴리에 도착하자 엠마는 곧 그에게 깊이 끌리고 나폴레옹의 정복 전쟁에 저항하려는 그의 열정적인 주장에 감명을 받는다. 그녀는 윌리엄 경을 떠나 넬슨과 함께 살게 되는데, 넬슨 역시 결혼한 상태였다. 그들의 목가적인 삶은 계속되는 전쟁과 배우자에 대한 불륜으로 위협받는다. 해군성은 윌리엄 경에게 연락하고 그는 엠마에게 (그가 아닌) 그녀가 카이로로 가고 넬슨이 영국으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정중하게 설명한다. 그녀는 넬슨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그들은 열정적인 작별 인사를 나눈다. 그러나 둘 다 결국 영국에 도착한다. 넬슨 부인이 엠마를 만나자 윌리엄 경보다 덜 관대했다.
상원에서 넬슨의 첫 연설 이후 군중들은 넬슨 부인과 엠마를 모두 알아보고 그가 먼저 누구에게 갈 것인가에 대한 소문이 돌기 시작한다. 이때 그들은 "저 해밀턴 여자가 있다"라고 말한다. 넬슨은 아내를 선택했지만 엠마는 기절하고 넬슨 부인은 마차를 몰아 사라진다. 그의 아버지, 영국 성공회의 성직자인 그의 아버지의 간청에도 불구하고 넬슨 경은 분노한 넬슨 부인과 헤어지고 그녀는 결코 그에게 이혼을 해주지 않겠다고 맹세한다.
엠마는 넬슨의 아이를 낳지만 넬슨은 다시 해상으로 불려간다. 한편 윌리엄 경이 죽고 엠마는 가난하게 된다. 넬슨은 이 사실을 알고 분노하여 그녀에게 시골집을 사주고 그들은 함께 산다.
나폴레옹은 스스로를 프랑스 황제로 선포하고 전쟁이 다시 시작된다. 넬슨은 스페인 해안에서 프랑스 해군에 맞서기 위해 떠난다. 함대는 넬슨이 "영국은 모든 사람이 자신의 의무를 다할 것을 기대한다"라는 신호를 올리면서 "Heart of Oak"를 부른다. 하디 선장은 넬슨에게 수많은 훈장을 착용하면 저격수의 표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지만 넬슨은 전투에서 획득했기 때문에 고집했다.
트라팔가 해전이 시작되면서 양측 함대 간의 거대하고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다. 넬슨은 저격수의 총에 척추를 맞고 갑판 아래로 내려간다. "불쌍한 엠마, 그녀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까?" 그는 생각한다. 밖에서는 빌뇌브 제독의 기함이 항복하고 14척의 적선이 파괴되거나 나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투는 계속된다. 넬슨은 20척이 손실될 때까지 계속하라고 명령한다. 18척 이후 그는 "우리는 위대한 승리를 거두었다"라고 말하고 죽는다.
영국에서 하디는 엠마에게 가서 전투를 묘사하지만 울기 시작하며 넬슨의 죽음을 밝힌다. 그녀는 자신의 인생이 끝났다고 생각하고 빈곤과 알코올 중독에 빠진다.[10]
2. 1. 엠마의 초기 생애와 윌리엄 해밀턴과의 만남
엠마는 젊고 아름다운 시절, 조지 로니와 조슈아 레이놀즈 같은 화가들의 모델로 활동하며 사교계에 발을 들였다. 그녀는 매력적인 찰스 프랜시스 그레빌의 정부였으나, 그레빌은 빚을 탕감받기 위해 엠마를 삼촌인 주 나폴리 영국 대사 윌리엄 해밀턴 경에게 보낸다.처음에는 이 상황에 충격을 받았지만, 점차 호화로운 환경과 윌리엄 경의 인품에 감화되어 그를 존경하게 되었고, 결국 결혼에 이른다.
2. 2. 호레이쇼 넬슨과의 만남과 사랑
엠마는 나폴리를 방문한 호레이쇼 넬슨을 만나 깊은 사랑에 빠진다.[10] 넬슨은 나폴레옹의 침략에 맞서 싸우는 영국의 영웅이었다.[10] 엠마는 찰스 프랜시스 그레빌의 정부였으나, 그레빌은 빚을 탕감받기 위해 엠마를 삼촌 윌리엄 해밀턴 경에게 넘긴다. 엠마는 윌리엄 경과 결혼하지만, 넬슨을 만나 열정적인 사랑을 나누게 된다.[10]엠마는 윌리엄 경을 떠나 넬슨과 함께 살기로 결심한다.[10] 그러나 그들의 사랑은 전쟁과 불륜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10] 해군성은 윌리엄 경에게 연락하고, 윌리엄 경은 엠마에게 (그가 아닌) 그녀가 카이로로 가고 넬슨이 영국으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설명한다. 엠마는 넬슨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두사람은 열정적인 작별을 한다.[10]
상원에서 넬슨의 첫 연설 이후 군중들은 넬슨 부인과 엠마를 모두 알아보고 그가 먼저 누구에게 갈 것인가에 대한 소문이 돌기 시작한다. 넬슨은 아내를 선택했지만 엠마는 기절하고 넬슨 부인은 마차를 몰아 사라진다. 그의 아버지의 간청에도 불구하고 넬슨은 넬슨 부인과 헤어지고, 넬슨 부인은 결코 그에게 이혼을 해주지 않겠다고 맹세한다.[10]
엠마는 넬슨의 아이를 낳지만, 넬슨은 다시 해상으로 불려간다. 윌리엄 경이 죽고 엠마는 가난하게 된다. 넬슨은 이 사실을 알고 분노하여 그녀에게 시골집을 사주고 그들은 함께 산다.[10]
2. 3. 넬슨의 귀환과 갈등
찰스 프랜시스 그레빌의 정부였던 엠마는 윌리엄 해밀턴 경을 만나기 위해 나폴리로 간다. 그레빌은 빚을 탕감받기 위해 엠마를 윌리엄 경에게 넘겼고, 엠마는 윌리엄 경과 결혼한다. 엠마는 호레이쇼 넬슨과 깊은 관계를 맺게 되고, 넬슨 역시 결혼한 상태였지만 엠마는 윌리엄 경을 떠나 넬슨과 함께 산다. 해군성은 윌리엄 경에게 연락하고 엠마에게 넬슨이 영국으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알린다. 엠마는 넬슨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둘은 영국으로 돌아온다. 넬슨 부인은 엠마를 냉대했고, 넬슨은 그의 아버지의 간청에도 불구하고 넬슨 부인과 별거하지만, 넬슨 부인은 이혼을 거부한다. 엠마는 넬슨의 아이를 낳지만, 넬슨은 다시 해상으로 불려 나간다.2. 4. 트라팔가 해전과 넬슨의 죽음
나폴레옹이 스스로를 프랑스 황제로 선포하고 전쟁이 다시 시작된다. 넬슨은 스페인 해안에서 프랑스 해군에 맞서기 위해 떠난다. 함대는 넬슨이 "영국은 모든 사람이 자신의 의무를 다할 것을 기대한다"라는 신호를 올리면서 "Heart of Oak"를 부른다. 하디 선장은 넬슨에게 수많은 훈장을 착용하면 저격수의 표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지만 넬슨은 전투에서 획득했기 때문에 고집했다.트라팔가 해전이 시작되면서 양측 함대 간의 거대하고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다. 넬슨은 저격수의 총에 척추를 맞고 갑판 아래로 내려간다. "불쌍한 엠마, 그녀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까?" 그는 생각한다. 밖에서는 빌뇌브 제독의 기함이 항복하고 14척의 적선이 파괴되거나 나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투는 계속된다. 넬슨은 20척이 손실될 때까지 계속하라고 명령한다. 18척 이후 그는 "우리는 위대한 승리를 거두었다"라고 말하고 죽는다.
영국에서 하디는 엠마에게 가서 전투를 묘사하지만 울기 시작하며 넬슨의 죽음을 밝힌다. 그녀는 자신의 인생이 끝났다고 생각하고 빈곤과 알코올 중독에 빠진다.
3. 등장인물
- 비비안 리 - 엠마 해밀턴 역
- 로렌스 올리비에 - 호레이쇼 넬슨 제독 역
- 앨런 모브레이 - 윌리엄 해밀턴 경 역
- 글래디스 쿠퍼 - 프랜시스 넬슨 부인 역
- 헤더 엔젤 - 메리 스미스 역
- 길버트 에머리 - 스펜서 경 역
- 로널드 싱클레어 - 조시아 역
- 노마 드러리 - 마리아 카롤리나 여왕 역
- 줄리엣 컴턴 - 스펜서 부인 역
- 사라 올굿 - 캐도건-리옹 부인 역
- 헨리 윌콕슨 - 하디 대위 역
- 할리웰 홉스 - 에드먼드 넬슨 목사 역
- 마일스 맨더 - 키스 경 역
- 루이스 알베르니 - 나폴리 국왕 역
- 올라프 히튼 - 개빈 역
- 가이 킹스포드 - 트루브리지 대위 역
3. 1. 주연
- 비비안 리 - 엠마 해밀턴 역
- 로렌스 올리비에 - 호레이쇼 넬슨 제독 역
- 앨런 모브레이 - 윌리엄 해밀턴 경 역
- 글래디스 쿠퍼 - 프랜시스 넬슨 부인 역
- 헤더 엔젤 - 메리 스미스 역
- 길버트 에머리 - 스펜서 경 역
- 로널드 싱클레어 - 조시아 역
- 노마 드러리 - 마리아 카롤리나 여왕 역
- 줄리엣 컴턴 - 스펜서 부인 역
- 사라 올굿 - 캐도건-리옹 부인 역
- 헨리 윌콕슨 - 하디 대위 역
- 할리웰 홉스 - 에드먼드 넬슨 목사 역
- 마일스 맨더 - 키스 경 역
- 루이스 알베르니 - 나폴리 국왕 역
- 올라프 히튼 - 개빈 역
- 가이 킹스포드 - 트루브리지 대위 역
3. 2. 조연
앨런 모브레이, 사라 올굿, 글래디스 쿠퍼, 헨리 윌콕슨, 헤더 엔젤 등이 조연으로 출연하였다. 비비안 리는 엠마 해밀턴 역을, 로렌스 올리비에는 호레이쇼 넬슨 제독 역을 맡았다. 앨런 모브레이는 윌리엄 해밀턴 경 역을, 글래디스 쿠퍼는 프랜시스 넬슨 부인 역을 연기했다. 헤더 엔젤은 메리 스미스 역을, 사라 올굿은 엠마의 어머니인 캐도건-리옹 부인 역을 맡았다. 헨리 윌콕슨은 하디 대위 역으로 출연했다.4. 제작
''해밀턴 부인''은 1940년 9월과 10월에 미국에서 촬영되었다.[11] 감독 알렉산더 코르다는 나폴레옹에 맞서는 영국의 투쟁을 세계를 지배하려는 독재자에 대한 저항으로 묘사하면서[12] 진주만 공격 이전, 미국이 공식적으로 중립을 유지하던 시기에 유럽의 현실과 병행하여 선전 목적으로 제작하였다.[13]
알렉산더 코르다의 동생 빈센트는 세트를 디자인하여, 엠마와 넬슨이 영국으로 돌아왔을 때 함께 살았던 집인 머튼 플레이스의 내부와 나폴리 바다를 내려다보는 윌리엄 해밀턴 경의 웅장한 저택을 만들었다. 코르다는 빠듯한 예산으로 5주 만에 촬영을 마쳤으며, 월터 라이시와 R.C. 셰리프의 오리지널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작업했다.[1] 원래 제목은 ''마법사''였지만, 영화는 영국에서 ''레이디 해밀턴''으로 처음 개봉되었다.[1]
비비안 리와 로렌스 올리비에는 촬영 당시 신혼 부부였으며 "꿈의 커플"로 여겨졌다. 영화의 태그라인은 ''올해 가장 흥미진진한 스크린 연인 팀![14]'' 이었으며, ''해밀턴 부인''은 그들이 함께 만든 세 편의 영화 중 마지막 작품이자 부부로서 함께 출연한 유일한 영화이다. 코르다는 또한 그들의 첫 번째 영화인 ''잉글랜드의 불길''을 제작했다.
엄격한 영화 제작 윤리 강령 때문에, 두 연인은 침대에서 함께 나타나거나 옷을 완전히 벗는 장면이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엠마는 넬슨이 탈진에서 회복 중인 침대에 앉아 그에게 수프를 먹인다. K.R.M. 쇼트의 영화 연구에 따르면, 제작 윤리 강령 사무소의 주요 문제는 로맨틱한 만남을 보여주는 장면이 아니라, "불륜 관계를 죄악이 아닌 로맨스로 취급하는" 시나리오였다.[15]
''해밀턴 부인''의 조연 배우로는 엠마의 어머니 역의 사라 올굿, 하디 선장 역의 헨리 윌콕슨, 넬슨 부인 역의 글래디스 쿠퍼, 그리고 엠마의 남편이자 나폴리 주재 영국 대사이며 예술품 수집가인 윌리엄 해밀턴 역의 앨런 모브레이가 출연했다.[16]
촬영 중 불꽃 덩어리가 토치에서 떨어져 올리비에의 머리에 직접 떨어져 가발에 불이 붙었다. 바로 옆에 있던 윌콕슨은 불을 끄려 했지만 실패했다. 결국 그는 올리비에의 머리에서 가발을 뺏았지만, 그의 두 손은 심하게 화상을 입었고 올리비에의 눈썹도 그을렸다.[17]
''해밀턴 부인''은 역사 로맨스로 홍보되었지만, 그 저변에는 전쟁 선전이 깔려있다.[18] 1941년 7월, 고립주의 단체인 아메리카 퍼스트 위원회(AFC)는 ''해밀턴 부인''과 다른 세 편의 할리우드 장편 영화(''위대한 독재자'', ''외국 특파원'', ''죽음의 폭풍'')를 "미국인들을 전쟁에 대비시키는 것처럼 보였다"며 비판했다. AFC는 미국 대중에게 이 영화들을 상영하는 극장을 보이콧할 것을 촉구했다.[19]
나폴레옹의 평화 약속에 대해 알게 된 넬슨은 역사적 서술을 당시 독재자의 위협과 명확하게 연결하는 연설을 한다.
"여러분, 여러분은 나폴레옹과 평화를 맺을 수 없습니다… 나폴레옹은 우리를 뭉개기 전까지는 세계의 지배자가 될 수 없고, 여러분, 그가 세계의 지배자가 되려고 한다는 것을 믿으십시오! 여러분은 독재자와 평화를 맺을 수 없습니다. 그들을 파괴해야 합니다. - 없애버려야 합니다!"[10]
5. 평가
영화는 라디오 시티 뮤직 홀에서 초연되었으며, 뉴욕 타임스의 보즐리 크라우더는 "유명한 사랑 이야기를 시대의 광범위한 역사적 개요를 배경으로, 등장인물들에 대한 깊은 공감으로 전개한 것"이라고 평가했다.[20] 비비안 리의 연기는 "보는 즐거움 그 자체"라는 찬사를 받았으며, 로렌스 올리비에의 넬슨은 "신중하고 분명히 인위적이며, 유명한 죽은 눈과 빈 소매로 그의 외모는 매우 인상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20]
윈스턴 처칠은 이 영화를 가장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로 꼽았으며,[21] 대서양 헌장 회의 동안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호에서 여러 번 상영했다.[22] 영화 역사학자 스테이시 올스터는 해밀턴/넬슨 로맨스 이야기를 윈스턴 처칠이 제안했는데, 그 이유는 "아돌프 히틀러를 나폴레옹과 동일시하여 폭군의 징벌자로서 영국의 역사적 역할을 홍보하는" 소재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23]
《키네마토그래프 위클리(Kinematograph Weekly)》에 따르면, 이 영화는 1941년 영국 박스 오피스에서 《49번째 병행선》, 《위대한 독재자》, 《핌퍼넬 스미스》 및 《온 세상, 그리고 천국까지》에 이어 다섯 번째로 인기를 얻은 영화였다.[25][26]
6. 수상 내역
《해밀턴 부인》은 제14회 아카데미상에서 음향상(잭 휘트니)을 수상했다.[27][28] 미술상, 촬영상, 특수 효과상 후보에도 올랐다.
7. 기타
- 음향은 잭 휘트니가 담당했다.
- 미술은 빈센트 코르다가 담당했다.
- 의상은 린 허버트가 담당했다.
- 마리오 란자가 "Somewhere a Voice is Calling"을 불렀다.
8. 같이 보기
참조
[1]
간행물
UA Meeting
https://archive.org/[...]
1940-11-20
[2]
서적
Balio 2009, p. 172
[3]
논문
The Robert Clark Account
Historical Journal of Film, Radio and Television
2000
[4]
뉴스
French box office in 1945.
http://translate.goo[...]
Box office story
2015-02-01
[5]
서적
McFarlane 2003, p. 370
[6]
서적
Fraser 1987, p. 163
[7]
웹사이트
British Cinema History: That Hamilton Woman.
http://www.vivandlar[...]
2011-02-16
[8]
웹사이트
That Hamilton Woman (1941) - Overview - TCM.com
http://www.tcm.com/t[...]
[9]
서적
The Moguls and the Dictators: Hollywood and the Coming of World War II
[10]
영상
That Hamilton Woman
United Artists
1941
[11]
웹사이트
Original print information: 'That Hamilton Woman' (1941).
http://www.tcm.com/t[...]
2015-02-01
[12]
웹사이트
Essay: 'That Hamilton Woman: An Alexander Korda Film'.
http://www.criterion[...]
2015-02-02
[13]
웹사이트
"'That Hamilton Woman' (1941)."
http://www.screenonl[...]
2015-02-01
[14]
웹사이트
"'That Hamilton Woman'."
https://www.imdb.com[...]
2015-02-01
[15]
논문
That Hamilton Woman! (1941): Propaganda, Feminism and the Production Code.
Historical Journal of Film, Radio and Television
1991
[16]
웹사이트
Credits: 'That Hamilton Woman' (1941).
http://www.tcm.com/t[...]
2015-02-02
[17]
서적
Wilcoxon in The New Captain George's Whizzbang
1971
[18]
뉴스
That Hamilton Woman: A Tale of Two Halves (For Better or Wors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01-06
[19]
논문
The Movies and the Antiwar Debate in America, 1930-1941.
Film & History
2006
[20]
뉴스
Screen review: 'That Hamilton Woman', the Story of a Historic Love Affair.
https://movies.nytim[...]
The New York Times
1941-04-04
[21]
서적
Lasky 1978, pp. 133–134
[22]
웹사이트
Winston Churchill's secret voyage (Part one)
https://blog.nationa[...]
The National Archives (United Kingdom)
2022-10-28
[23]
논문
Remakes, Outtakes, and Updates in Susan Sontag’s 'The Volcano Lover'.
Modern Fiction Studies
1995
[24]
서적
Holden 1988, p. 166
[25]
서적
Realism and Tinsel: Cinema and Society in Britain 1939-48
https://books.google[...]
2003
[26]
서적
Blackout : reinventing women for wartime British cinem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The 14th Academy Awards (1942)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2015-02-01
[28]
웹사이트
Awards: 'That Hamilton Woman' (1941).
https://web.archive.[...]
2015-02-01
[29]
웹사이트
Emma and Nelson.
http://www.picturepa[...]
2015-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